한줄요약 : 남에게 설명하지 못하는 지식은 진짜 아는 지식이 아니다.
0. 들어가며...
이번 제로베이스 프론트엔드스쿨 11주차부터 이웅모저자님과 함께하는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스터디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서, 기회를 잡고 참여하게되었다.
이번 글은 스터디 1주차 회고록이다. [6.14 작성을 시작 - 6.17까지 수정할 예정]
기본적으로 이 과정은 2달(8주)간 모던자바스크립트 Deep Dive책을
1회독을 하며 저자및 팀원들과 토의하며 공부하는 과정이다.
1. 첫 라이브 세션 [6.13(화) pm2:00 - pm5:00]
첫 라이브 세션에서는 기본적인 OT를 진행했다.
라이브 세션중 강사님의 요구사항? 은 다음과같다.
1. 카메라는 무조건 키기 :
우리의 목적은 남에게 잘보이기 위한 것이 아니고,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해서 학습을 이뤄내는 목적이다.
2. 팀간 러버덕하기 :
랜덤발표 -> 거절하지 말고 하기. 자신없으면, 창피하면 , 그 마음을 버려야 한다. 모르면 모르는 대로 ( 무슨뜻인지 모르겠다라고 얘기한다.) 아는사람이 설명을 도와준다. 이런게 토론이다.
- 강의를 하지말고 토론을 하자.
- 저는 이런식으로 이해했다. 나는 이런식으로 이해했다. → 이것에 대해 물어봐야한다라는 질문.
3. 원래는 주2 회만나지만, 팀원끼리 매일 만나는 것을 추천한다.
오프라인은 아침10시 → 저녁10시 퇴근한다고 한다. 오프라인 사람들은 이미 공부를 꽤나 진행한 상태였을텐데,, 나는 진짜 정신 똑바로 차려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4. 책은 몰아읽지 말고, 매일 읽자.
5. 토끼굴에 빠지지말자.
6. 질문을 많이하자.
7. 무단 참석 1회시 바로 탈락 처리 ( 예비군, 너무아픈경우 제외)
1-1. 강사님의 질문.
node.js 란 무엇인가?
답변 :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이다
런타임 환경이란 → 자바스크립트가 동작할 수 있는 하나의 환경이다
현대 모던 프론트 개발에서 다양한 도구를 사용한다. → 브라우저에서 동작x node.js에서
eslint(정적분석도구)
npm이란 무엇인가?
답변 : 도구,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같은 것들을 설치하기 위한 도구이다.
node.js란 무엇인가? npm이란 무엇인가란 질문을 같이 라이브 세션에 참가한 다른 친구들에게 질문이 들어왔지만, 나 혼자 답변해봤는데(위 답변은 내 답변이 아니다) , 얼추 비슷하게 잘 맞춘것 같다.
아직 초반이지만, 뒤로갈수록 어려워진다는 것을 알기에, 정신차리고 잘 생각하며, 이해하며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2. 팀원들과의 첫 만남
1. 간단한 인사를 나누고 서로 소개하는 이야기를 나눴다.
2. 조장을 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 서로 돌아가면서 하기로 결정.
2. 기본기 강조
1. 빠른 성장, 빠르게 배우기 위해서는 기본 용어에 대한 암기?는 필수 사항이다.
만약 용어에대해 완벽히 모른다면 계속해서 발목을 잡게될 것이다.
애초에 그렇게 생각하고 있긴 했지만, 강사님이 말씀해주셔서 더 확신을 갖게되었다.
3. 두번째 라이브 세션[6.15(목) pm2:00 - pm5:00]
두번째 라이브 세션 , 사실상 첫 번째 라이브세션은 OT였고 두번째 세션이 본격적인 시작이었다.
윗글에서 언급했다싶이, 조장은 돌아가면서 맡기로 했는데, 첫 주의 조장은 내가 맡았다.
많은 준비를 하지는 못했지만, 기본적으로 사이클은 잘 돌아간것 같았다.
초반 20분 정도?는 모두 첫 시작이라 어색한감이 있었지만, 일정시간이 지나고 나름 활발하게 잘 진행된것 같다.
아쉬운점은, 모두 1회독이고, 자바스크립트에 대해 접한기간이 오래된것은 아니라 혼자서는 이해했어도 남에게 설명하는 능력이 부족한것이 서로서로 보였다.
이런 아쉬움 속에서도 다행인? 것은 다들 비슷한? 실력의 (엄청난 실력차이가 나는사람은 없는것 같은 내 개인적인 느낌이다) 느낌이라서 기죽지 않고 더 열심히 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2회차는 4장[변수] 5장[표현식과 문] 6장[데이터타입] 7장[연산자] 까지 토의를 진행했다.
내 주관적 생각에 중요한 것들을 몇가지정리해 보겠다.
1. 변수란 무엇인가?
2. 변수 선언의 실행 시점과 변수 호이스팅
3. 표현식과 문 - 값, 리터럴, 표현식, 문, 토큰의 개념
4.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닌문
5. 데이터 타입의 필요성
6. 동적 타이핑 언어와 정적 타이핑 언어
7. 연산자의 부수 효과 & 우선순위
마무리 & 생각정리
HTML & CSS 와 다르게 JavaScript는 어려운 것이 당연한 것이라고 이웅모 저자님이 말씀해 주셨다.
(솔직하게 CSS도 쉽지 않던데?,.,)
1. 무엇을 모르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
2. 투입 시간과 성장은 비례한는 말도 기억에 남는다.
<생각정리>
책을 천천히 읽으니 확실히 1회독처럼 막 읽을때보다 이해가 잘 되는 느낌을 받았다.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현재 나의 개발 실력은 너무 부족하다...
오래 공부하지 않아 당연한 것이지만, 목표와 현실의 괴리감?은 한번씩 나를 지치게 만든다.
지금 나에게 있어서 필요한 것은 실력에서 나오는 자신감이다.
나중에 이 글을 봤을때, 이런 떄도 있었지라고 추억하는 글이 되기를 바라며 글을 마무리한다.
'JavaScript > 모던자바스크립트Deep Dive - 깊이 파고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웅모 저자와 함께하는]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스터디 5주차 회고 (0) | 2023.07.13 |
---|---|
[이웅모 저자와 함께하는]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스터디 4주차 회고 (0) | 2023.07.06 |
[이웅모 저자와 함께하는]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스터디 3주차 회고 (0) | 2023.06.29 |
[이웅모 저자와 함께하는]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스터디 2주차 회고 (0) | 2023.06.24 |
[공부기록] 모던자바스크립트 DeepDive 스케줄 정리 (0) | 2023.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