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 기본 동작과 용어정리

건강한_개발자 2023. 4. 15. 19:09

1. 기본 동작 원리

working Directory: 작업하는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PC)

StageIng Area : Git에 등록할 (커밋) 파일들이 올라가는 영역 (PC)

Local Repository : 로컬 Git 프로젝트의 메타데이터와 데이터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 (PC)

Remote Repository: Github 등의 서비스를 통한 온라인 상의 저장소 (온라인-server)

 


(내 PC 내에서 일어나는일)

  1. working directory 에서 local repository로 바로 commit은 못한다. staging Area를 거쳐야 한다.
  2. Git에 올리고 싶은 파일들을 staging Area로 올리고, 그파일들을 대상으로 coomit을 통하여 ,local repository(로컬저장소)에 등록을 할 수 있게되는 구조이다.

(다른 사람들과 공유) -github같은 온라인 저장소로 공유

  1. Local Repository에서 Remote Repository(Git hub같은)으로 등록할 수 있게된다.

(원격 저장소에서 가져오기) -fetch 명령어 / (merge 라고 부른다.)

  • Remote Repository 에서fetch명령어로 local Repository로 가져오면 local Repository는 working directory에 눌려있으니 소스코드에 바로 반영된다.

<기본 용어>

origin - 원격 (Github 등의 온라인 저장소)에 있는 코드

head - 내가 지금 작업하고 있는 로컬 브랜치

add - Working Directory에서 Staging Area로 등록하다.

commit - Staging Area에 등록된 파일을 Local Storage로 등록

Commit message - commit 시 함께 작성해 저장하는 메시지(메모)

push - Local Storage에서 변경된 파일들을 Remote Repository로 등록

fetch - Remote Repository의 변경된 파일들을 Local Repository로 전달

merge - Local Repository의 변경사항을 Working Directory로 전달

Branch - 독립적으로 어떤 작업을 따로 진행하기 위한 가지

checkout - 사용할 다른 브랜치를 지정